렘콜하스가 바라본 도시와 건축의 상관성(중국 건축)
렘콜하스는 건축물을 다루는 건축가입니다. 그와 더불어 건축과 도시는 하나의 유기체로 바라보며, 도시 또한 아주 거대한 건축물로 바라보고 있는 관점을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에 대한 건축적 실험으로 중국의 현대 도시 건축에서 그 아이디어를 추출하고 영감을 얻는데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3가지 건축물 사례를 통해 렘콜하스가 바라보는 건축과 도시에 대한 사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물 사례 1. 아스코트 레지던스(ASCOT RESIDENCE)
비록 토지의 빼어난 경관에 감탄을 하게 되지만, 충분히 성장한 경관으로, 기존의 부지의 구성은 그 아름다움의 가능성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능성을 충분히 드러내기 위해 탈바꿈 계획이 제안되었습니다.
빽빽한 지형에 새로운 전망을 열어줌으로써 이 부지의 크기와 모양의 진가를 완전히 인정할 수 있게 됩니다. 부지 중앙의 언덕은 토지를 내려다보는 아크로폴리스가 되고 이곳에는 각종 스포츠 시설이 들어서게 됩니다. 이 부지의 모서리를 보다 더 강조하기 위해 가라앉은 선형 건물이 첨가되어 무대를 형성하는 동시에 낮은 정원과의 차이가 보다 잘 드러나도록 해줍니다. 이 공간은 계곡을 향해 열려 있는데, 이는 여름 별장, 수영장, 바, 주차 공간과 파티 시설을 담고 있습니다.
그 결과 낮은 정원은 훨씬 더 분명한 모양을 지니게 되는데, 이는 또한 중앙에 있는 집의 환경을 위해서도 도움이 됩니다. 정원 디자인은 거친 자연 공간에 조절과 문화를 도입합니다.
언덕은 집의 완전한 프로그램을 담기에는 너무 규모가 작습니다. 여러 연구 결과는 이런 아크로폴리스 위에 집을 설치하는 것은 이런 효과를 줄이고 낮은 정원의 가능성을 살리는데 방해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또 다른 중앙 건물에 대한 연구 결과는 두 가지의 급진적인 옵션을 제시하는데, 이는 수평 그리고 수직의 집으로 양자 모두 같은 모양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시골의 집은 펼쳐지는 모양으로 수평의 형상인데, 이를 통해 토양, 전망과 경관과 같은 가까운 관계를 지닌 공간을 낳습니다. 우리의 초기 제안을 90도 회전하면 광대한 새로운 가능성이 생기는데, 각 공간은 부지와 자신만의 개인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관습적인 파티오(스페인 식 안뜰, Patio)였던 것은 이제 중앙에 위치한 다층의 생활공간이 되는데, 이는 거주자에게 선례가 없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고 동시에 프로그램의 가장 구체적인 요구에도 부합하게 됩니다.
건축물 사례 2. 베이징 도서관(BEIJING BOOKS BUILDING)
오늘날 대부분의 쇼핑은 내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쇼핑은 이제 박스 안에 담겨 있는 것이다. 상점이 크면 클수록, 외부는 보다 덜 그 안의 활동을 드러내게 됩니다. 현재 베이징 북 빌딩이 단지 상점만이 아니라 책을 읽을 수 있고 정보를 빨아들일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되는 방식은 상당히 흥미로운 것이지만, 이런 공간 내의 에너지는 외부 도시로 매우 적게 전달되고 있습니다.
이곳의 규모를 두 배로 넓히고 이곳에 새로운 공공 그리고 기술적인 요소를 첨가함으로써 상점의 강도는 단지 두 배가 되는 것이 아니라 세 배가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세상에서 가장 큰 서점이 될 것입니다. 우리는 이런 에너지가 건물 안에서 전달/활용되어 쇼핑을 획기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했고 둘째로 이런 에너지를 도시로 전달할 수 있는 파사드(facade)를 고안해 냈습니다.
ㅇㅇ2</p
p data-ke-size="size16">
하루에 50,000명에 달하는 방문객 압력을 감당하기 위해, 새로운 건물은 구 건물과 연결되는 경사로 시스템으로 고안했고, 이를 통해 구/신 공간은 단일의 연속적인 바닥면으로 연결되게 됩니다. 순환은 이제 더 이상 에스컬레이터에만 제한된 것이 아니며, 판매가 이뤄지는 장소 자체가 손님들을 전달하고 수용하며 점진적으로 기울어진 책꽂이 자체로 나선형 움직임을 형성합니다.
건물은 곧 다양한 활동과 수직 궤도를 따라 있는 상업적 공간이 혼합된 도시의 경험을 제공하고 기존의 서점을 도시 미디어 센터로 탈바꿈시킵니다.
상점의 규모가 두 배로 증가하며, 건물의 내부 기능은 파사드와는 점차 단절되게 된다. 이런 상황을 되돌리기 위해 그리고 건물이 도시에게 ‘대화’하게 하기 위해 우리는 거대한 반투명의 책꽂이 모양의 파사드를 개발했습니다. 쌓여 있는 주조 유리블록들은 책을 담고 있으며 구경하는 사람들과 책을 읽는 사람들에 의해 생동감이 생깁니다. 외부에서 이는 큰 픽셀로 내부의 활동에 따라 꺼지고 켜지는 곳이 됩니다.
Change An Avenue와 Xidan Square를 향한 두 개의 큰 입구는 주된 입구의 모습을 연출하며 상점 내부의 활동을 방송하는 거대한 전기 광고판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건물 안의 활동을 도시에 전달하고 나머지 세상의 활동을 건물 안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건축물 사례 3. 베이징 프레젠테이션 스터디 빌딩(BEIJING PRESERVATION STUDY)
중국 도시의 전통적인 내용은 hutong에 있는데, 친밀함과 다양성의 면에서 뛰어난 정원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건축 자체는 종종 단순한 편입니다. 열정적으로 현대화가 이뤄지고 있는 사회에서 어쩌면 과거를 열정적으로 지키려는 노력에 동참하는 것은 어려운 일인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내부와 외부의 비판에 대응하는 것은 이제 베이징의 계획가들이 매우 진지하게 고려하는 문제입니다.
여론에 의해 hutong(중국 도시의 일반적인 내용물)은 거의 베이징의 ‘과거’에 대한 특징을 나타냅니다. 딜레마는 아시아의 경우 건물은 덜 항구적이며 복원은 종종 무에서 시작하는 거친 재건축으로 기존의 모든 진정성을 부푼 건물로 덮어버리는 과정으로 연결된다는 점입니다. 복원이라는 이름으로 과거는 더 이상 알아볼 수 없는 것이 됩니다.
1790년 이래로 보존되는 것의 규모는 보다 커지고 있습니다. 고대 기념비로부터 시작해서, 보존의 레퍼토리는 현재의 환경을 구성하는 거의 대부분의 유형을 포함하는 지점에 이르고 있습니다. 보존에 대한 의견은 시간이 흐르며 점점 정치적인 것이 되고 있으며 이제 문화적 정확함의 언어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대상과 그것의 보존 사이의 간격은 1882년 거의 2.000년 전에서 오늘날 불과 10여 년 전으로 단축되었습니다. 곧 이런 간격은 사라질 것입니다. 과거를 향한 것에서 장래를 향한 방향으로의 급진적인 변화를 통해 우리는 이제 건축을 하기 전에 무엇을 보존할 것인지를 생각해야 할 것입니다.
어떤 건물들은 마지막까지 보존될 것이지만 다른 것들은 제한된 수명을 지닐 것입니다. 보존은 도시에 의도적인 단계의 차이를 부여할 것입니다. 우리는 오래 지속되는 건물에 투자할 것인데, 어쩌면 수명이 짧은 건물에서 보다 재미를 느낄지도 모릅니다. 외관상 개발에 반대하는 현재의 규모와 복합된 보존을 위한 노력은 사실상 다른 종류의 계획의 대등한 세상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보존과 건축은 사실 쌍둥이 현상이지 반대의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들은 하나의 계획으로 궁극적으로 모든 건축의 존속 기간을 결정하는 것의 부분일 수 있습니다.
보존의 목적이 만약 도시를 독창적이게 하는 요소들을 찾고 이를 보존하는 것이라면 베이징의 경우 최근의 역사를 통해 많은 상대적으로 새로운 건물과 도시 공간으로 이뤄진 병기고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들 또한 오래된 공간과 같은 정도의 관심이 요구됩니다. 베이징은 자신의 문제를 확장하고 기존의 건물과 접근 방식에 의존하기보다는 대등한 도시 계획을 도입하는 방식으로 자신을 재창조할 수 있을 것입니다.
4. 렘콜하스가 바라본 중국에서의 건축과 도시
필수 불가결하게 중심 가장 오래되고 가장 아름답고 가장 역사적인 부분에 초점을 두는 것과 다른 보존의 모델들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때론 무한한 분열은 미학적인 편견 없이 체계적으로 도시 구성에 일어난 모든 개발을 기록할 수 있고, 뾰족한 격자는 일종의 견본의 역할을 하며 모든 조건이 견본의 형태로 포착되는 통계적인 보존 모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가장 환상적인 보존에 대한 접근 방식은 이를 과거보다는 장래를 향한 방식으로 이용하는 것인데, 이는 도시의 다른 공간들의 다른 시기를 보존하는 것을 통해 이뤄질 수 있습니다. 일시적인 통일체보다는 영속적인 중앙과 끊임없이 변화하는 주변으로 도시는 부분들 사이의 계획된 단계 차이를 통해 정의되고 보다 풍부해질 것입니다.
과거와 현재 사이의 대조는 보다 상대적이 될 것이고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은 영구적인 접합면을 지니게 될 것입니다. 이는 새로운 건축은 자신의 기여를 단지 주변에만 부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보다 건축은 중앙에서 이뤄질 수 있는 것입니다. 이는 또한 새로운 건축물은 어느 곳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새로운 ‘건물’은 예상되는 범위에 집중되기보다는 분배될 것입니다.
더 많이 본 콘텐츠
'건축과 도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렘콜하스와 Beatriz 좌담2 (I~Y 관점) (0) | 2023.10.09 |
---|---|
도시와 건축은 어디로 가야 할까? 렘콜하스 건축 사적 이야기 (0) | 2023.10.07 |
렘콜하스와 Beatriz 좌담 (A~H 관점) (0) | 2023.10.05 |
도시와 함께 연계되는 렘콜하스 건축적 특징(사례 4가지) (0) | 2023.10.05 |
렘콜하스, 광기와 그 이상 (도시 건축 이론, 도시 이야기) (0) | 2023.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