렘콜하스는 도시와 건축을 함께 잘 다루는 건축가로 유명합니다. 특히 유명한 글로벌 대도시에서는 물론 소규모 도시에서도 도시와 건축이 작용하는 상호 연관성에 대해 잘 풀이합니다. 일본의 신주쿠 사례부터 스페인까지 방대하게 건너 다니는 여러 사례들을 살펴보시면 좋겠습니다.
1. 신주쿠 캠퍼스(SHINJYUKU VERTICAL CAMPUS)
타워들은 가장 많이 오피스 건물과 연관되고 가끔 주거, 아주 드물게 학교와 연관됩니다. 지루한 ‘돌출된’ 타워는 완벽히 오피스 블록의 유형에 들어맞습니다. 바닥은 주로 효율로 조절되고 만들어집니다. 그러므로 우리에게 캠퍼스에서 발견할 수 있는 에너지와 생명감을 수직적으로 재형성할 수 있는 것은 중요한 점이었습니다.
IDEA 수직 캠퍼스는 각 층마다 다른 형태를 만들 수 있는 가능성에 의해 이뤄졌다. 전형적인 펼쳐지는 캠퍼스의 상호작용은 이런 형태를 통해 달성되고, 보다 큰 ‘혼합 실’들은 보다 큰 공통 공간을 다른 공간적 가능성으로 연결합니다.
미디어 파사드는 조명과 정보를 같은 시스템 내에서 통합합니다. 이의 강도와 밀도는 다양한 정도의 readability를 형성하는 잠재적인 이용자의 거리에 의해 규정되는데, 동쪽을 향해 미디어 파사드는 신주쿠 역에 분명한 정보를 보여줍니다. 북쪽과 남쪽을 향해서는 건물은 매질에서 긴 도시의 거리로 인식될 수 있는 미디어를 제시합니다. 서쪽 파사드는 긴 폭의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IDEA 건물을 위한 미디어 내용물은 세 개의 주된 시나리오를 포함하고 있는데, 광고, 문화(예술, 공공 행사, 교육, 뉴스)와 상호교류(사람들의 움직임)가 그것입니다.
2. 음악당(CASA DA MUSICA)
Porto가 유럽을 위한 두 문화 수도로 2001년 선정된 이후 문화부 장관과 Porto 시는 도시를 위한 다양한 도시적, 문화적 건물을 준비하고 시작하기 위한 기구인 Porto 2001을 창립했습니다. 이런 문맥에서 다섯 가지의 국제적인 건축 회사들이 그중 하나가 OMA이었는데, Porto의 역사적 중심지인 Rotunda da Boavista에 위치할 콘서트홀을 위한 제한된 경쟁에 참여하기를 초대했습니다.
Porto의 이 지역은 여전히 ‘손대지 않은’ 도시였기 때문에, OMA는 새로운 콘서트홀이 Rotunda da Boavista 주변에 작은 규모의 원형 벽의 조각이 되게 하기보다는 Rotunda da Boavista의 역사적인 공원에 연결된 보다 친밀한 광장에 새로운 독립적인 건물을 건축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3. 프라다 런던(PRADA LONDON)
초록 매장은 프라다의 세계적인 이미지입니다. 이는 기본적으로 중립적이며 특정성이 없고 완전히 프라다의 제품을 전시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진원은 초록 매장의 안전성에 대한 도전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이들은 프라다 브랜드에 완전히 새로운 개념을 제공하기 위한 부지의 특수한 노력이었는데, 이는 단지 제품이 전시된 방식을 재정의 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고객들이 문화와 미디어 내용과 접하도록 해줬습니다.
Prada Brompton 매장은 다양한 브랜드와 문화적 요소를 통해 프라다의 쇼핑 경험의 레퍼토리를 보다 확장시킬 수 있습니다. Brompton 가의 매장에 있는 전체 프라다 그룹의 프레젠테이션은 브랜드들은 공통 영역에 통합할 수 있고 고객들에게 향상된 선택의 기회와 더불어 다양한 프라다의 실질적인 활동을 감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이는 단지 의류 브랜드의 차원만이 아니라 Fondazion Prada의 활동에 관한 것도 포함합니다.
Harrods와 Selfridges와 같은 백화점들은 다양하지만 쉽게 구분 지을 수 있는 여러 브랜드가 있는 층을 제공합니다. Dover Street Market과 같은 매장의 경우 멀티-브랜드라는 개념이 또한 적용되지만 다른 결과를 가져옵니다. 브랜드들은 디자이너에 따라 분리되어 있지만 의류들은 성에 따라 구분되어 있지 않습니다.
Prada Brompton은 고객들에게 Dover Street Market의 브랜드와 다양한 스타일과 단일한 ‘보호되는’ 백화점의 측들의 용이함을 제공합니다. 스트립으로 된 공간을 단순한 분리 벽으로 재분할한 것은 기본 매장의 형태와 이의 깊은 전체상을 없애고, 상대적으로 변하지 않은 채 남아 있을 수 있는 곳에서 하찮은 채움의 역할을 합니다. 입구 부분의 낯익은 초록 매장 분위기는 고객들이 공간의 깊이를 발견하기 전에 이들을 반기는 역할을 합니다.
4. 가족 하우스(SIGHVATSSON HOUSE)
Sighvatsson 가족은 부부와 10살짜리 딸이 있는데, 베니스 운하 지역에 집을 지어줄 것을 부탁했습니다. 널찍한 400평방미터 공간과 좁은 부지의 제한은 이 집의 디자인의 주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주변 가정과의 근접성 때문에 반투명한 U자 모양으로 운하를 향하고 있는 형태를 구상하게 됐습니다.
표면에 세 층높이의 집은 각각 세 개의 방으로 나뉘었고 이를 통해 9개의 동일한 방이 만들어졌습니다. 각 방은 특수한 기능을 위해 디자인되었고 저장 또는 순환을 위한 공간은 표면의 형태 때문에 용이해집니다. 회전할 수 있고, 위로 움직이고나 접히면서 열릴 수 있는 방들 사이의 분리-벽 때문에 이 집은 무한한 형태, 완전한 방들에서 열린 공간으로 변할 수 있는 공간적 가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5. 빈센트 아파트(VINCENT GALLO APARTMENT)
Vincent Gallo는 진정한 박식가입니다.
그는 캘빈 클라인의 모델이었고, 경주 차와 모터사이클을 좋아하고, 그는 화가이며 작가이고, 무엇보다 능숙한 영화 제작자이자 음악가입니다. 그는 수 해 동안 시애라 타워 아파트에 살았는데, 이는 LA의 몇 안 되는 높게 솟은 주거 지역으로 방해받지 않는 도시의 파노라마 전망을 제공합니다.
2005년 건물의 유일한 복식 아파트로 26, 27 층에 위치한 곳은 Vincent Gallo가 구입했습니다. 복식 아파트의 꼭대기 층은 작업을 위한 곳이고 아래층은 주거 공간으로 이들 사이에 Gallo의 독창적인 기타, 레코드, 영화 제작 도구들을 저장할 층이 숨겨져 있습니다. 이 경우 목표는 아파트의 주된 특징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 특히 전망 - 여전히 고객의 특수한 요구에 맞는 많은 작업을 하는 것이었습니다.
작업 층은 다양한 용례가 가능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는데 이는 100 dB(A) 방음 음악 스튜디오, 미니 콘서트홀, 방문객용 침실, 차고 워크숍이 있고 빼어난 경관은 손대지 않도록 하고 있습니다. 무대에 mixing table은 숨겨진 층에서 오를 수 있습니다. 떠다니는 책상과 조절 가능한 테이블은 천장의 레일에 매달려 있어서 Gallo가 다른 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바닥의 큰 창구는 그의 모터사이클 작업이 가능하도록 쉽게 열리고 닫힙니다. 방음 유리 파사드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두 외부 면은 중간 섹션으로 열릴 수 있습니다.
주거 층은 완전한 사생활을 보장하는 숨겨진 계단에 의해 숨겨진 층과 작업 층으로 연결됩니다. 주거 공간은 미래의 독신자용 부엌과 샤워 칸이 사적 공간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 전체 파사드는 발코니를 향해 열릴 수 있습니다.
6. 서울대미술관(SEOUL NATIONAL MUSEUM OF ART)
서울대학교 미술관을 위한 디자인은 사회와 대학의 연결 관계를 향상하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습니다. 디자인의 형태학은 지역과 캠퍼스 사이의 평범한 연결에 의해 정의되는데 이는 부지의 최대 건물 외피를 가릅니다. 슬라이스에 의해 형성된 떠다니는 덩어리는 곡선 도로와 부지의 지형에 의해 조절됩니다. 이 덩어리는 콘크리트 코어 위의 외팔보 모양의 스틸 외피로 이뤄져 있습니다.
건물의 프로그램은 네 가지의 주된 요소를 지니고 있는데, 전시, 교육, 도서관, 작업과 보조가 그것입니다. 건물 내부의 순환은 갈라지고 내부로 나선상으로 움직이는 슬라이스의 연장선상에 있습니다.
건물을 들어서면 순환은 다른 프로그램들 간의 연결 관계를 제공합니다. 교육적 공간과 강의실은 슬라이스에 의해 형성된 경사로부터 이득을 얻으며 내부적으로 경사로 모양의 좌석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도서관은 건물의 구조적 코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주변과 중앙 순환-로는 두 개의 나선형 고리를 형성하는데 이들은 건물의 연속적인 프로그램의 궤도를 형성한다. 전시 공간은 주된 공간으로 꼭대기 층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전시 층은 침투하는 교육 공간에 의해 확장되고 줄어들 수 있는 구조입니다. 이런 침투와 교육적 공간의 다양한 용례는 순환 경사로와 재질에 이해 표현됩니다. 건물은 특수한 마무리와 재질에 의해 보다 명확해지는데, 이는 구성 요소와 기능적 요구를 분명히 합니다. 한 덩어리의 건물은 전략적으로 특정한 부지의 경관을 향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구조적 뼈대의 모습을 드러냅니다.
7. 유대인 공항(NEW JEDDAH INTERNATIONAL AIRPORT)
33일 동안 새로운 Jeddah 공간은 메카의 신성한 하지(hajj) 기간 동안 거의 2만여 명에 해당하는 이슬람교도들의 유입을 맞이할 것입니다. 어떤 다른 공항도 이런 특수한 용도를 쓰이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이런 프로그램의 요구 사항은 공항의 조직과 이의 건축의 새로운 접근 방식을 위한 바탕을 형성합니다.
공항은 두 가지 규모 중 하나인데, 너무 크거나 너무 작습니다. 기본적으로 미래에 예상 가능치 않은 확장에 대응하기 위해 공항들은 결국 적당한 크기에 대한 ‘도박’을 하게 됩니다. 디자인의 경우 공항은 영원한 미정으로 운명 지어져 있습니다.
Hajj라는 가장 주된 요소로, 새로운 Jeddah 국제공항은 독특한 상황을 제기하는데, 이의 확장은 미리 예상할 수 있는데, 이는 정해진 순간에 정해진 기간 동안 일어나는 것입니다. 이런 상대적인 예상 가능성은 Jeddah 공항의 디자인이 ‘보통의’ 공항에는 없었던 특수한 규모일 것을 요구합니다. 일반적인 것 대신 특수함, 선형성 대신 중앙-화, 지루한 대신 특징적인 것으로의 부흥을 가능하게 합니다.
공항은 개인이 떠나는 주된 공간입니다. 업무용 여행과 여행이 공항의 주된 또는 어쩌면 유일한 용도라는 상황에서 떠나는 것의 흥분은 주로 다시 돌아오는 것보다 더합니다. 이런 차이는 공항의 디자인에도 드러나는데, 출발 장소는 주로 꼭대기의 (주로 물결치는 천장 아래) ‘웅장한 공간’에 위치하는 반면 도착 장소들은 평평한 실리적인 짐 찾는 공간 아래에 위치하여 새로운 목적지의 첫인상은 종종 실망스러운 것이 됩니다.
Jeddah 공항의 독특한 상황과 목적은 우리에게 떠나는 것과 마찬가지의 흥분을 도착할 때도 느낄 수 있도록 할 것을 요구합니다. 특히 메카에서 당신은 떠나지 않고, 메카를 향해 당신은 갑니다! 문구가 인상적입니다. Hajj에서 요구되는 표면은 공항에도 요구됩니다.
Hajj를 수용한다는 것은 이론적으로 같은 건물을 두 번 건축하는 것을 말하는데, 하나는 거의 대부분은 비어있게 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이 문제는 Hajj 섹션을 임시 구조인 일종의 거대한 텐트로 건축하는 것에 의해 해결됩니다.
초기 제안은 여섯 가지의 상징적인 특징을 지닌 디자인을 포함했습니다. 최종 디자인은 ‘고리’를 구성하는 것입니다. 주된 터미널과 왕실 파빌리온 모양으로 내부에 오아시스를 담고 있는데 이는 다양한 용도를 위해 형태를 바꿀 수 있습니다. 공항의 레이아웃은 공항과 Hajj가 크기가 두 배로 확장되지 않고도 통합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디자인은 출발과 도착을 같은 층에 구성하고 있어서 양자 모두 같은 공간적 조건에서 득을 볼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Hajj와 같은 정도의 큰 공간을 만드는데, Hajj 자체가 공항과 같은 발자취를 지닐 수 있도록 합니다. 더 이상 분리된 공간으로 여겨지지 않는 상황에서 Hajj는 거의 특정한 공항 디자인의 거의 우연한 부산물이 됩니다.
8. 밀스테인 콘서트 홀(MILSTEIN HALL CORNELL UNIVERSITY)
새로운 Milstein Hall은 430,000 제곱 피트에 달하는 추가 고간을 코넬 대학의 건축, 예술, 계획(AAP)에 제공하는데, 이는 스튜디오와 전시와 배심원 공간을 위해 매우 필요한 고간을 제공하고, Fine Arts Library를 위한 새로운 건물이 2 단계에 건축됩니다.
현재 캠퍼스 북쪽의 네 개의 다른 건물에 있는 AAP는 Arts Quad의 ‘뒤쪽’을 형성하는데, 이는 자신의 분위기에서 동떨어져 있으며 또한 Fall Creek Gorge로부터 분리되어 있습니다. 건축적 양식의 증식에도 불구하고 네 개의 건물은 단일한 유형을 지니고 있는데, 선형, 복도식 건물 - AAP의 활동을 수많은 보안 코드와 막다른 골목 뒤에 숨겨 두고 있습니다.
Milstein Hall은 방치된 Art Quad의 북쪽을 재고하고 AAP의 상호 학문적인 가능성이 드디어 활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기회를 동시에 제공합니다. Milstein은 Sibley와 Rand를 거대한 수평 판으로 2층에서 연결합니다. 전형적으로 박스는 고립되어 세워져 있습니다.
여기서 이는 연결고리의 역할을 하여, Rand와 Sibley를 연결하고 University Avenue까지 연결되어 Foundry와의 관계까지 형성하게 됩니다. 아이콘적인 고립에서 풀려나 이는 워낙 연결되어 있고 매우 많은 반향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단일의 복합체를 형성하기에 이릅니다.
박스 안에 건물은 캠퍼스에서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유형학을 제공하는데, 이는 넓은 수평 공간으로 다양한 활동이 동시에 이뤄질 수 있도록 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연하게 바뀔 수 있도록 합니다. 수평 판 안에 섹션들이 미묘하게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특정한 용도를 제시하고 자극하는 지역을 형성합니다.
들어 올린 박스 아래, 반쯤 잠긴 ‘낮은 판’이 있는데 이는 공공 프로그램의 그룹을 포함하고 있는데 전체 AAP를 위한 공간입니다. 위에 있는 박스는 낮은 판의 부푼 지붕과 교차하는데, 이는 일종의 혼합으로 동시에 박스에 접근 가능성, 강당의 경사, 열린 공간과 배심원 공간을 위한 이중 높이와 낮은 판의 로비를 동시에 제공합니다.
위의 판에 의해 빛으로부터 보호받는 강당은 세 개의 유리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AAP의 공적인 순간을 전체 대학에 드러냅니다. 낮은 판에 강당은 연속적인 고리 모양의 전시 공간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는 Sibley의 지하층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서쪽으로 새로운 플라자는 중앙의 돔 모양의 Sibley Hall에서 확장되는데, 이의 중요성을 다시 강조하고 처음으로 북쪽에서 Sibley의 일층과 지하층을 향한 일관된 입구 구조를 형성합니다.
미래 가능성, 넓은 캠퍼스 안에서 Milstein은 북쪽과 남쪽 사이에서 경첩의 역할을 하고, 동시에 Art quad의 동쪽의 끝을 구성하며 Rand Hall에서 Central Avenue까지 연결되는 공공장소의 이론적 구역의 출발점으로 작용합니다. 도시와 Regional Planning Department와 Art Department에 장래에 첨가하는 것은 각각의 활동을 이 지역으로 확장시킬 수 있습니다.
Milstein의 낮은 판과 함께 이런 첨가물들은 삼차원의 연속적인 이벤트를 형성하여 캠퍼스의 북쪽 끝을 완성할 것입니다.
다른 사람들이 흥미롭게 읽은 이야기
'건축과 도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 사회에서 환경건축의 필요성 그리고 의미 (0) | 2023.10.19 |
---|---|
하이테크 건축에 대하여 (0) | 2023.10.19 |
메가시티와 콜하스의 건축 6가지 특징 (0) | 2023.10.13 |
렘콜하스와 Beatriz 좌담2 (I~Y 관점) (0) | 2023.10.09 |
도시와 건축은 어디로 가야 할까? 렘콜하스 건축 사적 이야기 (0) | 2023.10.07 |